주식에 투자할때 PER를 봐야한다. PER가 낮다.
퍼가 높아 주식가격이 비싸다. 거품이다.
퍼가 낮아 저평가되었다. 싸다
라는 말을 주식방송이나 경제방송을 보다보면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퍼란 도대체 무엇인지.
얼마가 되어야 비싼건지 싼건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 뜻
퍼(PER) 는 Price Earning Ratio 의 약자로
주가 수익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가수익비율(PER)을 이해하려면 공식부터 알아야 합니다.
- PER = 주가 ÷ EPS
- 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위 굵은색 수식과 같이
퍼(PER)는 현재 주식의 시가총액 대비
돈을 얼마나 버느냐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기순이익의 당기는 보통 1년을 말합니다.
E 기업의 1년동안 순이익이 100억원이고
현재 시가총액이 1,000억이라면
E 기업의 PER는 10입니다.
(1,000억 ÷ 100억)
주식의 시가총액은 네이버증권 어플에서 종목 조회를 해보거나
증권사 어플에서 종목 재무나 기업상세보기 화면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PER 를 통한 매수법 주의사항
PER 가 10 이라는 것은
10년동안 동일한 이익을 내야 현재 주가의 시가총액을 채울 수 있다고
간단하게 해석 하는 경우도 있는데
기업이란 것은 해가 갈수록 성장하여 매년 당기순이익이 상승할 수 있고
반대로 하락할수도 있습니다.
현재 PER가 높다 낮다는 시장상황과 동종업계에 따라 판단이 다르게 들어갑니다.
코로나때 돈퍼주기로 유동성이 확보된 상태에선 기업의 PER가 높아지게 됩니다.
21년 3월에 테슬라의 PER가 1,000을 넘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반대로 금리인상으로 주가가 내려가면 PER가 낮아지게 됩니다.
PER는 주식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기업의 PER를 가지고 높다 낮다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동종업계의 PER가 어떻게 되는지,
평균은 어떤지를 비교해보고 투자할지 말지를 판단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I 산업군의 평균 PER가 20이고
I 산업군에서 내가 보는 종목의 PER가 10 정도라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산업군 평균은 주식앱에서 경쟁사 정보나
재무정보를 보면 업종 평균 PER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종업계 평균 PER보다 낮은 종목은
현재 주가보다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PER만으론 주가예측이 어렵습니다.
향후 매출 컨센서스, 수주공시등을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내려야 합니다.
PER는 종합판단할때 사용하는 여러가지 판단 지표 중 하나 입니다.
다만, 비슷한 매출제품군인지, 수요가 비슷하게 발생하는지도 함께 보아야
판단 미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해의 PER만 볼것이 아니라
최소 2~3년정도까지 보는 것이 좋은데
일시적으로 한해에 큰 비용이 들어갔거나 큰 수익이 들어가서 당기순이익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체결강도 뜻과 계산법 해석. 체결강도 높은 주식 매매 활용법 (0) | 2024.07.23 |
---|---|
금 투자방법 설명 및 수익률 비교. ETF, 펀드, 골드바, 골드뱅킹 가장 수익성이 높은 것 장단점 (0) | 2024.07.05 |
ROE란? ROE, ROA 차이. 계산 법과 주식 투자시 활용법. 자기자본 이익률만 보면 안되는 이유 (0) | 2024.04.29 |
PBR 뜻 주식 PBR 1 이하 저평가된 종목일까? pbr 높을수록 매수하면 안되는 걸까 (0) | 2024.04.27 |
국고채 금리 의미. 금리 기준이 되는 이유. 국고채 금리와 주식의 연관성 (0) | 2024.03.20 |
주식 코인에서 롱숏의 의미. 숏과 롱 어떤 매매방식이 수익내기 유리할까 (0) | 2024.03.14 |
2024년 6월까지 공매도 한시적 금지 이유. 공매도 이후 주식시장 영향 (0) | 2023.11.09 |
공매도 하는 이유, 공매도의 순기능? 공매도세력이 주식을 빌릴 수 있는 이유 (0) | 2023.11.08 |
댓글